재야 전문가의 1인 미디어 각광
‘블로깅이 직업인 시대’ 기대도 네티즌이 만든 콘텐트가 인터넷을 접수했다.미국의 유명 시사주간지 타임은 지난달 16일 2006년을 결산하는 특집호에서 ‘2006 올해의 인물‘을 발표했다. 그런데 표지 모델이 사람이 아닌 ‘You’라고 적힌 컴퓨터 화면이었다. ‘당신’이라니 무슨 말이야? 그러나 이어진 설명은 모든 사람들의 고개를 끄덕이게 했다. “블로그나 미디어 영역에서 폭발적으로성장하며 영향력을 키워가는 평범한 당신이 바로 올해의 주인공이다.”
그렇다. 지난 한 해 세상의 화두는 바로 UCC(User Created Content·사용자 생산 콘텐트)였다. UCC는 미국 중간선거의 당락을 좌우했고. 무명씨를 일약 월드스타로 만들기도 했으며 불과 수십만원의 창업자금으로 월 매출 수억 원을 달성하는 사업가도 키웠다. 그야말로 21세기 판도라의 상자라고나 할까.
#1. 지난달 5일 개그맨 지망생 안윤상(25)·최시영(24)·김주홍(24)씨는 한 포털사이트에 자신들이 만든 성대 모사 동영상을 올렸다. 이 동영상을 본 네티즌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수많은 격려 댓글이 이어졌고 동영상은 입소문이 퍼지며 화제가 됐다. 6일동안 동영상을 본 네티즌의 수가 10만명을 넘었고 이들을 인터뷰한 기사는 조회수 20만을 기록했다. 생활비를 벌기 위해 밤에는 PC방 등에서 아르바이트를 했고새벽에 모여 연습을 했다는 이들은 신문이나 방송의 제도권 미디어가 아닌 1인 미디어 UCC를 통해 단 며칠 만에 스타가 됐다.
#2. 지난해 8월 미국은 중간선거로 뜨거웠다. 그런데 전통적 공화당 우세지역인 버지니아주에서 이변이 일어났다. 공화당 조지 앨런 상원의원이 거리 유세 중 자신도 모르게 던진 말 한마디 때문에 민주당 짐웹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 민주당 지지 청년을 향해 “원숭이 같은 놈”이라고 한 발언이 동영상으로 찍혀 한 사이트에 올랐고 인종차별 논란을 불러 일으키며 선거 막판 지지율 급락의 요인이 되었다.
#3. 필명 ‘끄루또이’씨는 러시아에서 개발한 상품이나 기술. 러시아의 문화를 비정기적으로 블로그에 올린다. 끄루또이씨는 일간스포츠 블로그플러스 지면에 단골로 소개되는 파워블로거이다. 얼마 전 발명품 ‘투명 전기히터’가 지면에 소개된 후 엄청난 양의 이메일과 댓글을 받았다. 대부분 ‘상품 구매 대행을 해줄 수 없느냐’는 제의였다. 끄루또이씨는 이같은 사실을 자신의 블로그에 포스팅하며 “오프라인 미디어의 파워에 놀랐다. 1인 미디어 블로그와 오프라인 미디어의 결합이 기대 이상의 상승작용을 일으킴을느꼈다”고 밝혔다 (russiainfo.co.kr/tt/794). 그는 글 말미에 “블로그를 통한 수익사업도 가능할 듯하다”며 “솔직히 하는 일을 접고 전념해 보고 싶은 생각도 든다”고 고백했다.
이처럼 UCC 파워를 실감할 수 있는 예는 수없이 많다. 그러면 UCC는 무엇이며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UCC는 사용자가 직접 생산한 콘텐트를 말한다. 이제까지 뉴스나 정보의 생산은 전문가 집단(미디어 종사자 포함)만이 할 수 있었다. 이런 정보 생산의 독과점 체제가 인터넷·디지털카메라·휴대전화 등 정보통신 분야의 발달로 큰 변혁을 맞았다.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정보의 일방적 소비자 중 기존 미디어보다 빠르고 의미있는 정보를 생산하는 일반인이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생산한 정보를 담는 플랫폼(그릇)의 발달도 UCC 열풍에 큰 몫을 담당했다. 다음·네이버 등포털 사이트나 동영상 전문 사이트 판도라TV·엠군·다모임 등은 네티즌들에게 활동할 공간을 무료로 제공했다. 밑지는 장사를 하는 기업은 없다. 이들 기업은 UCC를 통해 더 많은 수익을 냈다. 미국의 대표적인 동영상 포털 사이트 유튜브(YouTube)는 유명 방송사의 1일 시청자 수와 비슷한 방문자를 기록하며 방송사가 제작하는 콘텐트의 양을 앞질렀다. 유튜브는 지난해 10월 미국 최대의 인터넷 업체 구글에 16억5000만 달러(약 1조 5800억원)에 매각됐다. 한국의 판도라 TV도 지난 6월 미국 벤처투자회사 알토스벤처로부터 60억원을 투자받았다.
본지는 지난 7월부터 오프라인 미디어로는 최초로 블로거들에게 지면을 개방했다. ‘블로그플러스’ 섹션을 주 1회 3페이지씩 배정하다 9월 26일부터는 주 5일 2페이지로 확대했다. 현재 2000여 명의 블로거가참여하고 있으며 300여 명이 파워블로거로 등록했다. 유익하고 흥미로운 기사가 하루 100여 개씩 생산되고 있으며 이 중 조회수·추천수에 따라 흥미넘치는 기사가 지면을 장식하고 있다. 즉 수천 명의 블로거가 일간스포츠를 만드는 셈이다. 모두 UCC가 차세대 성장 모델임을 증명하는 의미있는 현상이다.콘텐트도 엄청난 발전을 하고 있다. 초기 UCC는 글과 사진 위주의 단순한 형태였다. 내용도 단순히 보고즐기는 엔터테인먼트 성격(Entertainment UCC)이 강했다. ‘조삼모사’ 패러디. ‘을용타’ 등 기존 콘텐트를 재편집해 저작권 시비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위험도 컸다. 그러나 최근 동영상 위주의 정보 제공콘텐트(Information UCC)가 늘고 있다.
신발끈 묶는 방법. 깔끔하게 셔츠 접는 법. 나만의 요리 노하우 등 각 분야의 재야 전문가들이 직접 유익하고 흥미로운 내용을 소개하며 순기능적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최근 PCC(Proteur Created Contents)가 등장했다. 전문가(professional)와 아마추어(amateur)의 합성어인 프로추어(Proteur)는 블로그를 통해 먹고 살고 돈도 벌 수 있는 직업군의 탄생을 기대하게 한다.
UCC는 앞으로 어디까지 발전할까. UCC는 현재 네티즌의 폭발적 참여와 업계의 경쟁으로 성장을 거듭하고있다. 하지만 남의 콘텐트를 복제해 생기는 저작권 침해. 부적합한 콘텐트의 범람. 명예훼손. 프라이버시침해. 정보조작. 유언비어 등 해결해야 할 난제도 많다. UCC는 멀티미디어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엄청난 성장 잠재력을 갖는 미래형 미디어이다. 지금까지 지적한 문제점을 네티즌 스스로 정화해 나가고. 보다 질 높은 콘텐트가 생산된다면 UCC 열풍은 계속될 것이며 그 끝은 누구도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무궁무진하다.
▲UCC (User Created Content)
네티즌이 직접 만든 다양한 소재의 콘텐트로 미국에서는 UGC(User Generated Content)로 쓰인다. 창작의개념이 강조된 UGC는 사용자 가공 콘텐트 (User Modified Content)나 사용자 재창조 콘텐트 (User Recreated Content)와는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두 UCC로 통용되나 이로 인해 저작권 문제 등 부작용도 만만찮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미디어 조직에 속하지 않은 일반인이 비직업적으로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올린 콘텐트를 의미한다.
▲유튜브 (YouTube)
실직자였던 스티브 천(27)과 채드 헬리(29)가 2005년 5월 서비스를 시작한 동영상 공유 사이트. 정식 서비스는 12월이었다. 두 사람은 2004년 온라인 결제회사 페이팔을 퇴직하고 집에서 빈둥대던 ‘백수’였다. 파티에서 찍은 비디오를 친구들에게 보낼 궁리를 하다 해결책을 발견하고 회사를 세웠다. 어도비 플래시 기술을 이용해 동영상 파일을 쉽게 온라인에 올리는 기술을 발견한 것이다. 이용자 자신이 만든 동영상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동영상은 언제든지 퍼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여·공유개방의 3박자를 모두 갖춰 이용자들로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지난해 8월 아마추어 기타리스트 임정현씨는 자신의 ‘캐논 변주곡’ 연주 동영상이 유튜브에 올려져 세계적 이목을 집중시켰다.
▲PCC (Proteur Created Contents)
최근에 등장한 전문가 급이 제작한 질 높은 콘텐트를 말한다. 프로추어(Proteur)는 전문가(professional)와 아마추어(amateur)의 합성어이다. 프로급 동영상 제작 능력을 갖춘 대학 방송국이나 주식에 조예가 깊은 전문가들이 인터넷 개인 방송 등을 통해 고정팬을 확보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즉흥적이고 말초적인화제 중심의 UCC가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쪽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을 방증한다. PCC가 동영상만 있는 것은 아니다. 평론과 북리뷰. 영화리뷰 등 다양한 방면에서 전문적인 글을 올리는 네티즌도 늘고 있다.이들의 공통점은 한 분야에 매진한다는 것.
▲국내 동영상 UCC 전문 사이트
판도라TV·곰TV·아프리카·아우라·엠군·엠엔케스트·프리챌큐 등이 있다. 이 중 판도라TV는 ‘한국판 유튜브’라 불린다. 2004년 10월 문을 연 판도라TV는 카페나 블로그 등 각 커뮤니티에서 기피하는 동영상자료를 공유하는 전략으로 창업 2년여 만에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현재 동영상 자료 60만건을 보유하고있고 월 순방문자 91만여 명에 월 방문자 160여 만명 등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미국 벤처투자회사 알토스벤처 등 컨소시엄으로부터 60억원의 투자를 유치해 주목을 받았다. 이는 국내 동영상 전문 사이트의 주가를 올리는 계기로 작용했고 CJ의 곰TV 인수와 SM엔터테인먼트의 다모임 인수로 이어졌다.
조병환 기자 [whan@ilgan.co.kr]
'파 > ㅣ'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렐리 캘린더 Pirelli Calendar,1963-1973 (0) | 2011.07.15 |
---|---|
피렐리 캘린더 Pirelli Calendar 2007 (0) | 2011.07.15 |
핑크영화제, 주희를 만나다 (0) | 2011.06.22 |
피어싱, 하드코어 피어싱 (0) | 2011.06.22 |
PES film, Roof Sex (0) | 2011.05.20 |
피팅모델, 의류쇼핑몰 (0) | 2011.05.20 |
PPL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0) | 2008.01.03 |
필립 K. 딕 - 할리우드가 사랑한 SF작가 (0) | 2002.07.19 |
피터 잭슨 : 너는 웃지, 내 손바닥은 아직도 피로 끈적거려 (0) | 2002.01.06 |
핀볼 Pinball (0) | 200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