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10인’ 중 한국인 김웅용 씨가 포함돼 눈길을 끌고 있다.
28일(현지시각) 미국 허핑턴포스트는 비영리단체인 ‘슈퍼스칼러(SuperScholar)’가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10인을 선정했다고 전했다. 그 중 유일한 한국인인 김웅용(50) 씨는 IQ 210의 신동으로 유명세를 떨쳤으며, 한 때 기네스북에서 10년 간 세계에서 가장 높은 IQ를 가진 인물로 기록된 바 있다.
김 씨는 이미 네 살 무렵 4개국어를 통달했다. 일곱살 때는 지능지수(IQ) 검사를 위해 일본으로 갔다. 당시 그는 모든 문항에서 만점을 받아 ‘측정불가’라는 판정을 받았다. 결국 최고 측정치 IQ 200에 10을 더 얹어 ‘IQ 210’이라는 결과를 얻은 것이다.
이후 김 씨는 수학자인 야노 겐타로 도쿄공업대 교수가 출제한 미적분 방정식을 모두 풀었고, 이 모습이 방송되면서 영국 기네스협회는 ‘세계에서 가장 머리 좋은 사람’에 그의 이름을 올렸다. 그 결과 김 씨는 1974년 12세 때 미국항공우주국(NASA)로부터 연락을 받아 유학길에 올랐고 선임연구원으로 발탁됐다.
그러던 중 김 씨는 1978년 돌연 평범한 삶을 살겠다고 선언, 귀국 후 검정고시를 거쳐 충북대 토목공학과에 입학했다. 현재 그는 충북개발공사에 재직 중이다. 그 때문에 한 때 그는 ‘비운의 천재’, ‘실패한 천재’라는 꼬리표를 달고 다니기도 했다.
김 씨는 평범한 직장인의 삶을 살고 있는 것에 대해 지난 해 4월 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천재가 아니기 때문에 실패한 천재라는 말이 맞지 않다”며 “난 남들이 나이 들어 갈 곳을 미리 가서 경험했을 뿐이다. 한때는 그게 너무 재미있었지만, 나중에 힘에 부치면서 제자리로 돌아온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과거에 천재라고 불렸다면 지금 내가 반드시 하버드대나 예일대에서 교수를 하고 있어야 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면서, “난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고 평범한 직장인으로서의 삶에 만족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김웅용 씨 외에도 슈퍼스칼러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10인에는 영국의 천재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70), 마이크로소프트(MS)의 공동창업자인 폴 앨런(59), 미국 공중파 방송의 제작자 겸 작가인 릭로스너(52), 22세의 나이로 최연소 체스 그랜드마스터가 된 게리 카스파로프(49), 영국의 수학자 앤드류 와일즈(59), 15세에 체스 최연소 그랜드챔피언에 오른 주디트 폴가(36), 세계에서 두번째로 높은 IQ 225의 크리스토퍼 히라타(30) 등이 이름을 올렸다. ham@heraldcorp.com
[뉴스핌=김인규 기자] 전세계에서 가장 머리가 좋은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 천재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다양한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비영리단체인 수퍼스칼라(SuperScholar)는 자체 기준에 따라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10인을 선정했다고 미국 허핑턴포스트가 전했다.
28일 허핑턴포스트에 따르면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을 비롯해 I.Q 230의 테렌스 타오, 김웅용, 제임스 우즈 등 흔히 '천재'로 불리는 현존 인물 10명이 눈길을 끌고 있다"며 "이들은 전 세계 0.5% 안에 드는 사람들"이라고 전했다.
특히 이들 10위 안에 아이큐 210으로 '신동'으로 화제가 됐던 김웅용씨가 선정돼 더욱 화제가 되고 있다. 김웅용씨는 I.Q로는 테렌스 타오, 크리스토퍼 히라타 에 이어 세번째다.
수퍼스칼라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I.Q가 90~110사이며 하위 2.5%는 I.Q 70 이하고, 상위 2.5%는 I.Q 130 이상, 0.5%는 I.Q 140 이상에 속한다.
다음은 수퍼스칼라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10인(무순)
►스티븐 호킹(70)
영국의 이론물리학자로 루게릭병에도 불구하고 블랙홀 등의 우주 연구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I.Q 160으로, 7권의 베스트셀러를 저술했고, 14개의 표창을 받았다. 10명 중 가장 유명한 인물.
►김웅용(50)
진정한 신동으로 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렸음. IQ 210인 그는 한때 기네스북에서 10년간 세계에서 가장 높은 IQ를 가진 인물로 기록됐으며 현재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IQ를 가진 인물로 알려졌다. 네 살때 4개국어를 통달했으며 1974년 12세때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선임연구원으로 발탁돼기도 했다. 1978년 돌연 평범한 삶을 살고 싶다고 선언, 귀국 후 검정고시를 거쳐 충북대 토목공학을 공부했고 현재는 충북개발공사에서 일하고 있다.
►폴 앨런(59)
마이크로소프트(MS)의 공동창업자. 천재 중에서 가장 성공한 인물로 꼽히는 그는 142억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세계 재벌 순위 48위에 기록되고 있다. IQ는 170이며 SAT 중 두 과목에서 1600점 만점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릭 로스너(52)
미국 공중파 방송의 제작자 겸 작가. ‘경찰특공대’란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그는 IQ가 192가 넘지만 스트리퍼, 롤러스케이팅 웨이터, 나이트클럽 기도, 누드모델 등의 다양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게리 카스파로프(49)
1985년 22세의 나이로 최연소 체스 그랜드마스터가 됐다. 21년간 세계 최정상의 자리를 지켰으며 1996년 슈퍼 컴퓨터 ‘딥 블루’에 패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IQ 190인 그는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출마한 바 있으며 현재는 작가이자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앤드류 와일즈(59)
영국의 천재 수학자. 1995년 그는 358년간 그 어떤 수학자도 증명하지 못했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를 증명했다. IQ 170인 그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수학 및 과학에 관한 15개의 수상을 한 바 있다.
►주디트 폴가(36)
15세의 나이에 체스의 대가 바비 피셔를 꺾고 체스 최연소 그랜드챔피언에 올랐다. 부친은 그녀와 언니 소피아를 대상으로 교육에 대한 획기적인 실험을 성공시켰다. 그녀의 IQ는 170이다.
►크리스토퍼 히라타(30)
IQ 225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다. 그는 14세때 캘리포니아공과대학(칼텍)에 입학했으며 16세때 NASA의 화성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2세에 프린스턴 대학에서 천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알려졌으며 13세때 물리학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딴 바 있다.
►테렌스 타오(37)
세계에서 가장 지능이 높은 인물. IQ가 230으로 기록돼 있다. 그는 유아때 어린이 프로그램인 ‘새서미 스트리트’를 보고 홀로 셈을 터득했다. 2살때는 기본적인 수학 능력을 갖췄고 9세 때는 대학과정의 수학 문제를 풀었다. 그는 24세에 UCLA 최연소 교수가 됐다. 13세때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땄다.
►제임스 우즈(65)
가장 똑똑한 영화배우. IQ 180인 그는 SAT 언어에서 만점을 수학에서 779점을 받았으며,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그는 에미상을 세 차례 수상했으며 아카데미상에 두 차례 노미네이트됐다.